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3)
서버 배포 예제 https://내프로젝트명.com 이런 식으로 인터넷 상에 내 도메인으로 서비스하는 방법은크게 아래 3가지가 대표적이에요.✅ 1️⃣ AWS 같은 클라우드 서버에 배포하기 (가장 보편적)예: AWS EC2, Google Cloud Compute Engine, Azure VM 등서버 OS는 보통 Linux (Ubuntu, CentOS)여기서 Docker를 사용하면 앱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로 관리할 수 있어 배포/확장/복구가 편리함Nginx나 Apache로 HTTPS (SSL) 설정 + 도메인 연결👉 가장 표준적이고 기업/개인 모두 많이 쓰는 방법✅ 2️⃣ 자체 Linux 서버로 직접 운영하기예: 직접 사무실이나 집에 리눅스 서버를 한 대 둠거기에 Docker로 앱 실행 → Nginx로 HTTPS 처리 → ..
Spring MVC Project 구현 스프링 디렉토리 구조 1. Spring MVC 구현 절차 요약1. Maven 프로젝트 생성 (또는 Gradle)Web Project로 설정 (war packaging)pom.xml에 필요한 의존성 추가 (Spring MVC, JSTL, Servlet API 등)2. web.xml 설정DispatcherServlet 등록ContextConfigLocation 등록 (Spring Bean 설정 XML)3. Spring 설정 파일 작성servlet-context.xml: Spring MVC 설정 (ViewResolver, component-scan, messageConverters 등)root-context.xml: 일반 Bean 등록용 (선택)4. Controller 생성@Controller + @RequestMapping으로 ..
스프링 컨테이너 의존객체 자동 주입 의존 객체 자동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은 객체 간의 의존성을 Spring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기능을 의미해.1. 의존 객체 자동 주입이란?애플리케이션에서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필요로 할 때,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Spring이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방식을 의미해. 직접생성방법은 스프링설정파일에서 의존객체를 주입할때 또는 태그로 의존 대상 객체를명시하지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필요한 의존대상 객체를 찾아서 의존대상 객체가 필요한 객체에 주입해주는 기능이다. 구현방법은 @Autowired와 @Resourc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쉽게 구현할수있다.예를 들어, UserService가 UserRepository를 필요로 한다면, 일반적으로는 Use..
Spring Bean(빈)의 범위 싱글톤, 프로토타입 싱글톤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빈(Bean) 객체의 경우 동일한 타입에 대해서는 기복적으로 한 개만 생성이 되며, getBean() 메서드로 호출이 될 때 동일한 객체가 반환된다.빈 객체를 참조하는거다.   프로토타입싱글톤 범위의 반대의 개념도 있는데 이를 프로토타입 범위라고한다.프로토타입의경우 개발자는 별도로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스프링 설정파일에서 빈( Bean) 객체를 정의할 때 scope속성을 명시해주면 된다.  //이것은 주입하는 객체 //주입하는 객체를 이용해서 의존하는 객체 작성getBean으로 객체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객체를 계속해서 생성하면서 객체를 만들어 나가는 방법이다.즉, 싱글톤처럼 같은메모리주소의 공간에서 참조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주소를 가진 객체를 생성하는것.프로토타..
라이브러리 임포트 vs. 스프링 DI(의존성 주입) 어느 정도 비슷한 개념, 하지만 스프링의 DI(의존성 주입)는 단순한 라이브러리 임포트보다 더 강력한 개념. 라이브러리 임포트 vs. 스프링 DI(의존성 주입) 구분 라이브러리 임포트 스프링 DI(의존성 주입) 의미외부 라이브러리(.jar, .dll 등)를 프로젝트에 추가하는 것스프링 컨테이너가 객체(빈)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사용 방식import 문을 사용하여 직접 코드에서 가져옴@Autowired, @Bean, @Component 또는 XML 설정을 통해 객체를 주입객체 생성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직접 인스턴스 생성스프링 컨테이너가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유지보수직접 객체를 관리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려움객체의 생성과 소멸을 스프링이 담당하므로 유지보수 편리예제 코드import java...
스프링 DI 빈 설정 예제applicationContext.xml 1. 메이븐 프로젝트 생성2. pom.xml - Spring Framework 관련 의존성 추가 (spring-context, spring-jdbc) 등 작성3. 프로젝트 메이븐 업데이트4. src/main/resource에 applicationContext.xml 파일 생성   빈으로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빈 설정 (데이터베이스 설정, 서비스 객체 설정 등) 대충 빈즈 데이터베이스 설정이나서비스 설정 코드를 작성하고 제네릭엑스엠엘앱컨텍스트 클래스 임포트 하고 뉴 생성자주입하고겟 빈 해서 appl..
CSS 선택자 CSS 선택자(CSS Selectors) 완벽 정리!CSS 선택자는 HTML 요소를 선택해서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만들 때, 특정 요소를 꾸미려면 올바른 선택자를 사용오늘은 기본 선택자부터 고급 선택자까지 하나하나 쉽게 설명!1. 기본 선택자 (Basic Selectors)CSS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선택자들1) 전체 선택자 (Universal Selector) *모든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 {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설명:위 코드처럼 *을 사용하면 모든 HTML 요소에 기본 여백을 없애는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2) 태그 선택자 (Type Selector)특정 태그(요소)에 스타일을 적용p { col..
연산과 논리 게이트 연산과 논리 게이트 쉽게 이해하기!오늘은 컴퓨터가 어떻게 계산하고 생각하는지 연산과 논리 게이트에 대해 알아볼 거야. 아주 쉽게 설명,걱정 마!1. 연산연산이 뭐야?연산(계산)이란 숫자를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는(÷) 것이야. 우리도 덧셈, 뺄셈 같은 계산을 하잖아? 컴퓨터도 숫자를 계산해야 해!그런데 컴퓨터는 0과 1(이진수) 만 사용해서 계산해. 예를 들면:1 + 1 = 10 (2진수에서는 2가 아니라 '10'이 돼!)1 - 1 = 01 × 1 = 11 ÷ 1 = 1컴퓨터는 우리처럼 숫자를 직접 더하지 않아. 대신 작은 부품(회로)들이 0과 1을 이용해서 계산을 하지!2. 논리 게이트란? (컴퓨터의 뇌!)논리 게이트가 뭐야?컴퓨터는 0(꺼짐)과 1(켜짐) 두 개의 숫자만 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