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de.js

Express 서버 연동(기본)

1. 일단 js 파일을 하나 만든다.

2. Express 설치명령어 - npm install express

3. 이제 index.js 파일을 만들어서 Express 서버를 실행


// index.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 express라는 변수에 'express' 모듈을 가져옵니다.

const app = express(); //app 변수에 Express 애플리케이션 객체를 할당합니다.
//이 객체는 웹 서버의 역할을 하며, 라우팅(요청 경로 처리)과 미들웨어 설정 등을 할 수 있습니다.

const port = 3000; // 포트번호, 서버가 사용할 포트를 지정합니다.

// JSON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
//app.use()는 미들웨어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입니다.
//이 경우, express.json() 미들웨어를 추가하여 JSON 형식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app.use(express.json()); //서버는 JSON 데이터를 파싱하여 사용

// 기본 경로로 GET 요청 처리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This is Express Server.');
});
//HTTP GET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입니다.
//기본 경로(/)로 GET 요청이 들어오면, res.send()를 통해
//'Hello World! This is Express Server.'라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냅니다.

// /api 경로로 POST 요청 처리
app.post('/api', (req, res) => {
const data = req.body; // 요청에서 받은 JSON 데이터를 가져옴
res.json({
message: 'POST request received!',
receivedData: data,
});
});
//HTTP POST 요청을 처리합니다. /api 경로로 POST 요청이 들어오면,
//req.body를 통해 요청의 JSON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가져온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JSON 형식으로 다시 응답합니다.
//응답은 message와 receivedData를 포함하며, receivedData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를 담습니다.

// 서버 실행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press server is running on http://localhost:${port});
});
//지정된 포트(3000)에서 서버를 실행시킵니다. 서버가 정상적으로 시작되면 콜백 함수가 실행되고
//콘솔에 Express server is running on http://localhost:3000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나 HTTP 클라이언트를 통해 이 서버에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ress 웹서버 구축하고 CRUD 게시판 구현 하기  (0) 2024.10.20